SAP FI 자산 테이블 ANLC, ANLP, 자산탐색기(AW01N) 설명

SAP FI 자산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값을 확인해야하는 경우 
많이 사용하는 스탠다드 테이블 중 하나인  ANLC, ANLP을 설명하고자 한다.

기본적으로  SAP는 일어나는 모든 트렌젝션의 값을 테이블에 저장한다.




ANLC는 자산기치 필드로 해당 자산의 취득, 감가상각 등의 금액 정보가 담겨있는 테이블이다.
주로 많이 사용하는 필드는 
-AFABE (실제감가상각 영역) : 주로 01 (장부감가상각)에 실행됨
-AFBLPE (최종 감가상각이 전기된 기간) :해당년도(GJAHR)에 마지막으로 감가상각을 실행한 달이 나옴.
- KANSW(누적취득 및 생산 원가) : 자산 취득 시 원가
-KNAFA (일반 감가상각 충당금) : 해당년도(GJAHR)의 전년도 마지막 감가상각 기간까지의  감가상각 누계액




-NAFAP ( 연간계획된 일반 감가상각) : 당해년도에 전기될 감가상각의 총 금액
-NAFAG (당기에 전기된 일반감가상각) : 해당년도(GJAHR)의 감가상각 전기기간(AFBLPE)까지의 감가상각 누계액 


KNAFA의 2023년 값을 보면 22년 12월까지의 감가상각 누계액이 필드 값으로 들어가 있다.



실제 테이블의 필드값을 확인해보면 위와 같이 나온다.






ANLP 테이블에서 주요 필드는
-PERAF ( 감가상각 계산 기간) : 감가상각이 계산된 달
-NAFAP (연간계획된 일반 감가상각) 
-NAFAG (당기에 전기된 일반감가상각) : 해당년도(GJAHR)의 감가상각 전기기간(AFBLPE)까지의 감가상각 누계액



해당 필드에 이렇게 값이 들어간다.



마지막으로 자산탐색기를 통해 자산의 가격을 확인하는 방법이다
티코드 AW01N에 들어가서 자산마스터를 입력하면 해당 자산의 거래 내용들을 확인 할 수 있다.


취득가액, 감가상각누계액, 계획 감가상각금액 등 자산거래와 관련된 금액들이 나와있다.
테이블이랑 비교하면서 원하는 필드를 가지고 오면 된다.




해당년도의 실행된 감가상각비 누계액이 가운데 들어가 있고 그 왼쪽의 일반 감가상각은 마감된 이전 회계년도까지의 계산된 금액이다.
 



1. 마감된 회계년도 (현재회계년도의 전년도)까지의 감가상각 금액의 합
2. 현재 회계년도의 마감된 기간까지의 실행된 일반 감가상각 금액의 합
3. 현재 기간(월)까지 실행된 총 감가상각 금액의 합  (감가상각 누계액)
4. 현재의 (실행된 감가상각까지의) 순장부가액 (남은 자산가치)

다음 이전